인필

인필은 3D 프린트 부품 내부의 격자 구조를 말하며 강도, 재료 효율성 및 프린트 시간을 균형있게 조절합니다. 실체 부품과 달리 인필은 무게와 필라멘트 사용을 줄이면서 구조적 무결성을 유지합니다. 주요 고려사항에는 기하학, 기계적 요구사항그리고 재료 특성.

인필 밀도 및 적용

밀도 지침

  • 장식용/시제품 부품: 8–15% – 기본 형태를 유지하면서 재료 사용을 최소화합니다.

  • 기능성/기계적 부품: 20–40% – 이동 부품이나 하중 지지 면을 위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합니다.

  • 고강도 부품: ~50% – 반복적인 응력이 가해지는 도구, 커넥터 또는 부품에 적합합니다.

  • 특수 사례:

    • 0% : 쉘이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면 얇은 벽체 객체(예: 인클로저)에 적용 가능합니다.

    • 99% : 효율성보다 밀도를 우선하는 특수 응용 분야에 예약됩니다.

수확체감 : 50% 이상의 인필은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프린트 시간과 재료 사용을 증가시킵니다.

기하학적 고려사항

  • 얇은 벽체 부품 : 인필의 영향이 거의 없으므로 우선순위를 두세요 쉘 두께 (예: 3–4 벽).

  • 크거나 두꺼운 모델 : 더 높은 인필(20–50%)은 처짐을 방지하고 층간 접착을 보장합니다.

인필 패턴과 성능

일반적인 패턴

  • 그리드 : 속도가 빠르고 중간 정도의 강도; 중첩 라인에서 노즐 막힘이 발생하기 쉽습니다.

  • 삼각형 : 속도와 방향성 강도의 균형; 일반 목적 프린트에 이상적입니다.

  • 자이로이드 : 등방성 강도와 진동 저항; 인쇄 속도는 느리지만 방향성 약점을 피합니다.

  • 큐빅 분할 : 균일한 하중 분배를 위한 3D 그리드 구조; 복잡한 응력 지점에 적합합니다.

  • 라이트닝 : 전략적 지지를 가진 초저밀도(5–10%); 내구성보다 속도를 우선합니다.

패턴 선택:

  • 속도 : 그리드, 삼각형, 라이트닝.

  • 강도 : 자이로이드, 큐빅, 옥텟.

  • 심미성 : 동심원(반투명 프린트에서 눈에 잘 보임).

고급 인필 매개변수

인필 오버랩

  • 범위: 8–12% 쉘 벽과의 오버랩은 눈에 띄는 선 없이 결합을 보장합니다.

  • 트레이드오프 : 높은 오버랩(>15%)은 표면 인공물을 유발할 위험이 있으며, 낮은 값(<5%)은 쉘-인필 접착을 약화시킵니다.

레이어 두께

  • 기본값 : 전체 레이어 높이와 일치(예: 0.2mm).

  • 최적화 : 대형 모델의 프린트 시간을 줄이기 위해 인필 레이어 두께를 늘리세요(예: 0.3mm).

프린트 순서

  • 벽 전 인필 : "정맥" 같은 표면 질감을 줄이지만 치수 정확도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.

  • 벽 후 인필 : 표면 품질을 우선하는 기본 설정입니다.

인필 문제 해결

  • 들쑥날쑥한 상단 표면 : 인필 밀도(≥20%)를 늘리거나 상단 레이어 (4–6 레이어).

상단 레이어가 너무 적거나 인필이 너무 낮아 "들쑥날쑥한" 외관이 생깁니다
  • 노출된 인필 : 오버랩을 줄이거나 쉘 벽을 늘리세요(≥3), 또는 반투명 친화적 패턴 (예: 자이로이드).

  • 약한 층 접착 : 인필 패턴을 조정하세요(예: 등방성 강도를 위한 자이로이드) 또는 노즐 온도를 올리세요.

인필 최적화를 위한 실용적 워크플로

  1. 부품 요구사항 평가:

    • 하중 방향 결정(예: 수직 대 측면).

    • 중요한 표면 식별(상단/하단 대 측면).

  2. 설정 보정:

    • 시작은 시제품용 15% 인필 로 시작하고 스트레스 테스트에 따라 조정하세요.

    • 사용하세요 온도 타워인필 밀도 테스트 으로 재료별 조정을 하세요.

  3. 후처리:

    • 반투명 부품의 인필 가시성을 가리기 위해 샌딩하거나 코팅하세요.

    • 고응력 영역을 보강하려면 국소 인필 밀도 (슬라이서에 따라 다름).

Last updated

Was this helpful?